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앞선 글에서 AI가 주식시장에 어떤 방식으로 변화를 주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소개해드렸는데요, 이번에는 그 연장선에서 “그럼 실제로 AI를 어떻게 활용해서 종목을 고를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해 좀 더 실질적인 이야기를 해보려 해요.

    저도 처음엔 AI 투자라는 게 너무 복잡하고 추상적으로 느껴졌거든요. 그런데 막상 직접 분석 도구들을 활용해보니까, 생각보다 훨씬 실용적이고 체계적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특히 종목 선별, 리스크 평가, 뉴스 분석 같은 영역에서 AI가 꽤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주더라고요.

     

    AI 활용한 주식 분석

     

    AI로 종목을 고르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AI가 주식 분석에 쓰이는 대표적인 분야는 단연 종목 스크리닝(선별)이에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PER이나 ROE 같은 지표 몇 개로 기업을 비교하는 반면, AI는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분석합니다.

    제가 사용해본 머신러닝 기반 분석 툴은 대략 이런 정보들을 참고하더라고요

    • 최근 3~5년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변화 추이
    • 산업 성장률금리, 환율 등 매크로 지표
    • CEO 발언, 공시 내용 같은 비정형 텍스트 정보
    • ESG 평가나 사회적 평판 등 정성 데이터

    이걸 단순히 수치로 비교하는 게 아니라, AI가 “앞으로 수익이 기대되는 종목”을 스스로 추려주는 방식이에요. 게다가 2025년부터는 생성형 AI 기술 덕분에 뉴스, 리포트, 커뮤니티 글까지 분석해서 투자심리도 판단하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재밌는 건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모델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저처럼 장기 투자 성향이라면 ‘안정성과 꾸준한 수익’ 위주의 전략을 보여주고, 단기 매매를 선호하는 친구에겐 변동성 중심의 종목을 제안해주더라고요. 이 맞춤형 전략이야말로 AI 분석의 진짜 매력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전 예시 : AI가 분석한 종목은 이렇게 나옵니다

    직접 궁금해서 2025년 상반기 기준으로 미국의 엔비디아(NVIDIA)와 국내의 한미반도체를 AI 분석 도구에 넣어봤어요.

     

    엔비디아(NVDA)
    AI 분석 결과를 요약해보면 이렇습니다.

    • 2021~2024년 평균 매출 성장률(CAGR): 42%
    • AI 반도체 시장 점유율 70% 이상
    • 생성형 AI·LLM 수요 확대에 따른 지속 수혜 예상

    결론적으로 AI 모델은 "고성장 지속 가능성 매우 높음", "단기 조정 시 매수 추천"이라는 판단을 내렸어요.
    또한 뉴스 분석을 보면 긍정적 언급이 78% 수준이라 투자 심리도 꽤 우호적인 상황이더라고요.

     

    한미반도체(042700.KQ)
    국내 AI 분석 도구에서는 이 기업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어요:

    • 실적은 안정적이나 분기별 변동성 존재
    • HBM 후공정 장비 수요 증가로 업황 개선 중
    • 해외 매출 비중 확대, 기술력 부각

    AI의 결론은 "2025년 하반기 업황 개선에 따라 중기 수익 기대 가능", 그리고 "AI 반도체 공급체인 연계 종목으로 분류"였습니다. 이 두 사례만 봐도 알 수 있듯이, AI는 단순 재무 숫자뿐 아니라 산업 트렌드, 시장심리, 뉴스 흐름까지 고려한 정교한 분석을 해주는 거예요.

     

    AI도 틀릴 수 있다? 투자자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해요

    이쯤 되면 “AI가 다 알아서 해주니까 그냥 따라가면 되는 거 아냐?”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요, 실제로 써보면 그렇지만도 않아요.

    AI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예외적인 상황엔 취약할 수밖에 없어요.  대표적인 예가 바로 ‘블랙스완’ 같은 사건이죠. 예측 불가능하고 충격적인 사건들 말이에요. 아무리 AI가 똑똑해도, 결국 판단은 사람이 해야 해요.

    그리고 AI가 종목을 추천하더라도, 왜 그 종목을 고른 건지 이해하지 못한 채 투자하는 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AI가 추천한 종목이라도 반드시 재무제표, 업황, 최근 뉴스는 다시 체크하고 나서 결정합니다.

     

    AI는 계속 진화 중, 함께 성장해야 해요

    2025년 현재 AI 분석은 점점 더 자연스럽고 정밀해지고 있어요. GPT-5 기반 투자 분석 서비스는 뉴스 요약, 실적 분석, 업종 전망 리포트까지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마치 리서치센터 애널리스트가 매일 요약 정리해서 이메일로 보내주는 느낌으로 말이죠.
    덕분에 시장 흐름을 따라가는 데 필요한 시간도 훨씬 줄 것 같아요. 앞으로는 AI와 인간 투자자의 협업이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AI를 ‘대신 해주는 존재’로만 보지 말고, ‘같이 공부하는 도구’로 접근하면 진짜 내공이 쌓입니다.

     

    AI는 주식 분석을 더 정밀하고, 더 빠르고, 더 객관적으로 만들어주는 혁신적인 도구입니다.
    하지만 결국 중요한 건, 그 분석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죠. 저는 이제 AI 없이 투자하기가 힘들 정도예요. 하지만 그렇다고 AI만 믿고 움직이지는 않아요.

    결국 시장에서 살아남는 사람은, 기술을 도구로 삼고 자신만의 기준과 판단력을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앞으로도 저는 AI의 도움을 받되, 투자 판단은 제 손으로 내리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만이 2025년 이후 시장에서 진짜 앞서 나갈 수 있어요. 같이 공부하면서, 한 걸음씩 성장해봐요!

    반응형